“과학자의 양심을 걸로 숨기는 것 없고, 안전에 이상 없다”

image

[대전=일요신문] 육심무 기자 = 사용후핵연료 반입 및 연구 등과 관련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안전과 신뢰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015년 대한민국최고과학자상 수상자인 정용환 단장이 사용후핵연료의 저장과 연료 성능 평가 및 연구 개발 과정의 안전에 대해 문제가 없음을 설명하고 나섰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개발단 정용환 단장은 이미 2002년 마르퀴즈 후 등 세계 3대 인명사전에 이름이 등재된 세계적인 과학자로 대전시는 11월 3일 그를 대전 최고의 인물로 대전 기네스에 등재하기도 했다.

정용환 단장은 핵연료 피복관 국산화 연구를 시작해 세계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는 지르코늄 합금 ‘하나 피복관’을 개발해 그 기술을 민간에 이전했는데 이전료가 100억원대로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지르코늄 합금으로 제조된 이 핵연료 피복관은 핵연료가 안전하게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도록 보호해 주고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일차적인 방호벽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으로 고온 고압의 냉각수 안에서 장기간 사용해야해 우수한 부식저항성과 기계적 특성이 필요한 부품이다.

정 단장이 지르코늄 핵연료 피복관을 개발해 상용화 하기 이전에는 원자력발전소의 핵심적인 부품이지만 원천기술이 없다는 이유로 웨스팅하우스사와 아레바 등 외국업체들에게 터무니 없이 비싼 값을 불러도 부르는 대로 주고 사와야 했다.

세계 최대 원자력 회사인 프랑스 업체가 특허무효 소송을 제기했지만 승소했는데, 이는 정 단장의 기술이 안전성과 경제성이 뛰어났기 때문이다.

31년간 원자력연구원에 근무하면서 원자력 분야 최고 과학자로, 국가에서 받은 혜택을 봉사로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사단법인을 만들어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강연 등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정 단장을 만나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해 불거진 문제들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image

“원자력안전분야 전문가가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초에 방사선이 하나씩 나올 때 1베크렐이라고 하는데 이 방사선의 단위인 베크렐은 실용적으로는 너무 작은 단위여서 이 단위를 사용해 발표되는 수치가 때로는 일반인들에게 많은 오해와 공포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단위의 마술인데, 비유를 하자면 체중 70Kg인 사람이 나의 체중은 0.07톤이다라고 하는 것과 나의 체중은 700억 마이크로그램이다 라고 하는 것은 모두 같은 내용이지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다른 것입니다 . 1만 베크렐이나 10만 베크렐이면 큰 값처럼 느껴지므로 방사선에 대한 공포를 불러일으키려면 베크렐을 사용하면 딱입니다. 보통성인 1명의 몸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이 5000 베크렐 수준이어서 2명만 모이면 1만 베크렐이고 20명이 모이면 10만 베크렐의 방사능이 대기 중으로 방출됩니다. 미국에서는 방사선의 단위로 퀴리를 사용하는데 1퀴리는 370억 베크렐입니다.국제 표준이 과학적이기는 하지만 인간의 감성과는 잘 어울리지 않아서 비과학적인 사회에서는 오용되거나 왜곡되지 쉬운 것 같습니다.“

- 단위를 가지고 장난친 자료라는 뜻으로 이해되는데 이런 자료가 시민들에게 전달되는 것은 왜일까요?

“원자력 안전에 대한 과학자들의 눈 높이와 시민들의 눈높이의 차이가 크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제가 원자력연구원에 31년째 근무를 하고 있고 요즘 지적되는 사용후 핵연료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한마디로 만일 위험하다면 연봉을 10억원을 준다고 해도 여기에 근무할 과학자는 없을 것입니다. 원자력연구원에 근무하는 연구원들은 국내외 어느 연구소에서도 반기는 인재들인데 이들이 위험하다면 여기에 근무할 리가 있겠습니까? 제가 지난해 우리나라의 노벨상이라고 일컬어지는 대한민국 최고 과학자상을 수상한 사람입니다. 저의 과학자의 양심과 지식을 걸고 지금 제기되고 있는 사안들은 기우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

- 그러면 원자력에 대한 시민들의 부정적인 생각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요.

“이런 사안을 가지고 언론에 인터뷰를 해본 적이 없었는데 사용후 핵연료 연구는 제가 맡고 있는 분야이기에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서 곰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언론의 내용은 대부분 ‘몰래 반입-쉬쉬-들통’으로 요약되는 경향인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평소에 원자력연구원에서 진행되는 연구와 사용후핵연료 저장 등에 대해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충분한 설명을 해드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원자력과 핵연료하면 일반 국민들에게 연상되는 것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투하와 해일로 인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폭발이 가장 먼저 연상돼 공포를 느끼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원자력과 사용후핵연료 등에 대해 일부 정치인 등이 자료를 왜곡하고, 이를 확인도 하지 않고 부정적인 면을 과장한 일부 언론매체들의 보도도 주민들의 불안을 가중시켰다고 생각합니다. 원자력연구원에 사용후핵연료가 반입돼 연구를 시작한 것은 1987년부터이고 사용후 핵연료 및 핵물질을 시험할 수 있는 조사후시험시설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1990년대부터 관련 법규에 따라 공개해 왔습니다. 10년 전인 2007년에도 요즘 보도되고 있는 내용들이 언론기관에서 이슈화된 적이 있습니다.”

- 이제와서 다시 사용후핵연료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요.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 저하와 불신의 원인이라고 분석됩니다.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는 요즘 정국에 빗대어 보면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해 국민들이 크게 신뢰하기 않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라고 봅니다. 연구원이 보안 가급 시설이다보니 보안상의 문제로 접근 하기가 어렵고, 국제원자력기구가 요구하는 보안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보안을 강화하면서 시민들과의 거리가 멀어진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관련 법규와 규정에 따라 사용후핵연료와 중저준위방사능 폐기물 보관 등에 대해 항상 공개를 하고있고, 사용후 핵연료를 연구하고 저장하는 시설을 다녀간 인사들이 1만명을 넘는데도 불신이 가시지 않고 있다는 것은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춘 적극적인 홍보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민과 언론에 대한 시설 견학 및 설명과 정기적으로 정확한 정보 전달 등을 통해 비과학적이고 왜곡된 정보들이 전파되는 일이 없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image

- 사용후핵연료 연구를 원전이 아닌 연구원에서 해야하느냐는 지적도 있는데요.

“일부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연구 중단은 물론 원자력연구원 이전 문제까지도 거론되고 있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당부드리고 싶은 것은 원자력이 우리나라 경제 발전과 국력 향상에 기여한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원자력의 연구는 일반인 들이 생각하시는 것 보다 오래됐습니다.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취임 후 경제 부흥 방안을 고심할 당시 미국과학자를 만났고 그 과학자는 우라늄 1그램은 석탄 3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 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원자력의 중요성을 실감했습니다. 여기에 감명을 받은 이 대통령은 국력의 상당 부분을 기울여 먹고 살기도 정말 힘들었던 시절인 1959년 한국의원자력연구소를 준공햇다는 사실을 아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이 원자력연구소의 연구가 바탕이 돼 우리나라는 1978년 원자력발전소의 상업발전을 시작했고, 이 저렴한 에너지가 우리 산업을 일으키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것에 경제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사용후핵연료 연구는 중단할 수 없는 과제입니다. 미국과 프랑스 등 모든 선진국들은 원자력에너지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에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아직 원전을 대체할 에너지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없는 상황에서 연구 중단은 첨단 기술 예속을 심화시켜 궁국적으로는 국가 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할 수 밖에 없습니다.

연구가 원전이 아닌 연구원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비유하자면 원자력발전소들이 일반 병원이라면 원자력연구원은 최고의 시설과 인력을 갖춘 종합병원인 셈입니다. 일반 병원에서 첨단 의료기기와 전문 인력들을 모두 갖출 수 없고, 모든 환자를 진료할 수 없는 것처럼 원전관련 연료와 시설 및 운영 등에 대한 연구는 원자력연구원에서 진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

연구시설이 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했다는 지적은 적반하장입니다. 원자력연구원이 설립되던 당시 이 곳은 대전에서 아는 사람이 별로 없을 정도로 오지였습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개발을 추진해 이렇게 만들어 놓고 원자력연구원 탓을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스웨덴이나 노르웨이 프랑스 등을 보면 원자력연구 시설은 모두 고급 인력 확보가 용이한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고, 스웨덴은 연구소 옆에 고급 전원주택단지가 그림처럼 조성되어 있습니다. 안전에 문제가 있다면 선진국들이 이런 것을 그냥 두겠습니까? 원자력뿐 아니라 세상 어느 것도 100%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기에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법규와 규정 및 허용 기준치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며, 우리 연구원은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과학자의 양심을 걸로 숨기는 것 없고, 안전에 이상 없다”

[저작권자: 일요신문]
News ID: n20160005